고지혈증
고지혈증치료
식사 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생활습관 개선 및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약물치료를 하는것이 치료의 중심입니다. 운동을 지속하게 되면 대게 HDL콜레스테롤은 90%가 증가하고 중성지방은 70%가 감소합니다.
약물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스타틴계열: 주로 사용되는 약물이며,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중성지방도 일부 떨어뜨립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5~10% 정도 올려 주기도 합니다. 드물게 근육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근육통이 있으면 혈액검사로 근육효소(CK)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② 에제티미브: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며, 스타틴 계열의 약과 함께 쓰면 추가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③ 콜레스티라민: 담즙산이 소장 내에서 재흡수되는 것을 막아 LDL-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립니다. 담즙산이 재흡수되지 않으면 간에서 다시 담즙산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담즙산은 콜레스테롤을 이용하여 합성되므로 콜레스티라민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나 콜레스티라민은 중성지방을 올리기 때문에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는 처방하지 않습니다. 또한 콜레스티라민은 장에서 머무르면서 약효를 나타내므로, 가스가 차고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④ 니아신: 혈중 중성지방과 LDL-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올려 줍니다. 부작용으로는 얼굴에 홍조를 띠며 간기능장애 및 혈당조절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피브레이트제제: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가 탁월하며, HDL-콜레스테롤을 올려주기도 합니다. 부작용으로 소화기 장애 및 담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⑥ 오메가 3 지방산: EPA와 DHA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루 3~4g을 복용할 경우 중성지방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습니다.